표충사 호국 박물관

表忠寺 靑銅 銀入絲 香垸

국보 제75호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표충사의 대표 국보 향완이란 절에서 의식을 행하거나 불단에 올려놓고 향을 피우는데 사용된 공양구이다. 특히 이처럼 완형(盌形)의 몸체에 나팔처럼 벌어진 자리와 원반형 받침을 지닌 형태를 향완이라 불렀다. 경상남도 밀양 표충사에 있는 청동 향완은 높이 27.5㎝, 입지름 26.1㎝의 크기이다. 향완에 무늬를 새기고 그 틈에 은실을 박아서 장식한 은입사(銀入絲) 기술이 매우 정교하면서도 세련된 작품이다.

향완의 형태는 주둥이 부분에 넓은 전이 달린 몸체와 바깥으로 벌어진 나팔모양의 받침을 갖춘 모습이, 고려시대의 전형적인 양식이다. 전과 몸체가 닿는 부분을 둥글게 처리하고 받침 둘레의 가장자리에 얕은 턱을 만들어 안정감을 주었다. 높이나 너비의 비율도 거의 1:1을 이룸으로써 균형잡힌 비례감각을 보여주고 있다. 넓은 전 윗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6개의 원 안에 ‘범자(梵字)’를 은입사하였으며, 그 사이사이에 구름무늬를 장식하였다. 몸체에도 역시 굵고 가는 여러 선으로 원 안에 굵게 은입사한 ‘범자(梵字)'가 4곳에 배치되어 있다. 받침에는 구름과 용무늬를 장식하였는데, 굵고 가는 선을 이용하여 능숙하게 표현된 용의 모습에서 고려시대 뛰어난 은입사기법을 보여주고 있다.

1962년 12월 20일

표충사 청동 은입사 향완

대한민국의 국보 제75호로 지정

1968년 12월 19일

표충사 삼층석탑

대한민국의 보물 제467호로 지정된 표충사 대홍원전(大弘願殿) 앞에 세워진 3층석탑이다.

1972년 2월 12일

표충사 석등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14호 표충사 석등으로 지정

1985년 11월 14일

경상남도의 문화재

  •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41호 표충사 팔상전
  •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42호 표충사 만일루
  •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143호 표충사 명부전

1990년 1월 16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68호 밀양 표충사 영정 및 탱화로 지정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72호 제영록 책판

1993년 12월 27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293호 소장유물으로 지정

2008년 1월 10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57호 목조삼존여래좌상으로 지정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58호 석조석가여래좌상으로 지정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59호 목조지장상 및 석조시왕상으로 지정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60호 목조관음보살좌상으로 지정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61호 석조지장보살반가상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66호 아미타삼존탱으로 지정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67호 아미타구품탱으로 지정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68호 아미타후불탱으로 지정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469호 지장탱으로 지정
  •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427호 석조보살좌상으로 지정
  •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430호 대원암 조왕탱으로 지정
  • 경상남도의 문화재자료 제431호 대원암 칠성탱으로 지정

2015년 7월 30일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 경상남도의 유형문화재 제590호 하동 법성선원 표충사기으로 지정

사명대사 호국성지
표충사 박물관

天皇山 表忠寺 博物館

대한민국 보물 제467호

밀양 표충사 삼층석탑

표충사 대홍원전(大弘願殿) 앞에 세워진 3층석탑이다. 탑 앞에는 같은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석등이 있으나 이 곳은 탑과 석등이 놓였던 원래의 위치가 아닌 듯하다.

표충사의 원래 이름은 죽림사(竹林寺)인데 신라 흥덕왕 4년(829)에 두번째로 크게 확장시켜 이름을 영정사(靈井寺)로 고쳤다고 전한다. 조선 헌종 5년(1839)에는 그때까지 밀양군 무안면에 있었던 표충사(表忠祠)를 영정사로 옮기면서 절 이름도 표충사(表忠寺)로 개칭하였고, 가람배치도 큰 이동이 있었던 것이니 이 탑도 그 때에 옮긴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